카테고리 없음

이 회사 주가 비싼 걸까? PER로 알아보는 기업가치 분석하기

우아남매맘 2025. 4. 22. 12:10
반응형

 

 

1. PER이란 무엇인가요?

 

PER은 Price to Earnings Ratio의 약자로, ‘주가를 주당순이익(EPS)으로 나눈 값’입니다.

 

계산식 : PER = 주가 ÷ 주당순이익(EPS)

 

쉽게 말하면, 내가 지금 이 기업의 주식을 사면, 그 기업이 버는 이익을 기준으로 몇 년이 지나야 본전을 찾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숫자입니다.

 

 

2. PER이 높으면 좋은 건가요?

무조건 좋다고만 볼 수는 없습니다. PER은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‘하나의 지표’ 일뿐이고, 해석은 아래처럼 달라집니다.

 

  • PER이 높다
    시장에서 그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
    또는 현재 주가가 너무 비싸게 책정돼 있을 수 있다 (거품 우려)

 

  •  PER이 낮다
    현재 주가가 싸다! 저평가된 기업일 수 있다
    또는 성장성이 낮거나 실적이 좋지 않을 수도 있다

그래서 PER은 같은 업종의 기업들끼리 비교해서 판단하는 게 좋습니다!!

 

 

 3. 기업 사례 분석하기

 

항목 A기업 B기업
주가 50,000원 30,000원
EPS 5,000원 3,000원
PER 10배 10배

두 기업 모두 PER이 10배예요.
즉, 두 기업은 이익 대비 비슷한 수준의 평가를 받고 있는 거죠.
하지만 A기업이 더 비싼 건, EPS(실적)이 더 좋기 때문이에요.

 

 

4. PER을 활용할 때 주의할 점

  • PER만 보고 투자하면 성장성이나 미래 전망을 놓칠 수 있습니다.
  • 적자 기업은 PER 계산이 안 됩니다. (EPS가 마이너스라서)
  • 같은 업종, 비슷한 규모의 기업끼리 비교하는 게 핵심입니다!!

 

5. 마무리

PER은 단순한 숫자 같지만, 기업의 가치를 이해하는 데 정말 중요한 지표입니다.
하지만 PER만 보고 섣불리 투자하기보다는, 같은 업종 내 기업들과 비교하고, 실적과 성장성도 함께 보는 습관이 중요합니다.